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정보통/비배당주(코스피)

빅히트 주가, 사업보고서, 실적 분석(엔터주)

안녕하세요! 국내주식정보를 다루는 꼬마통퉁입니다.

 

이전에 분석한 '한국조선해양'에 이어 분석할 코스피 비배당주는 '빅히트'입니다.

(참고:한국조선해양 주가, 사업보고서, 실적 분석(조선주))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기업의 주된 사업, 매출 구조, 지난 5년간의 실적 등을 파악하실 수 있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기업을 이해하고 주가가 어떻게 될지 판단하시는데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빅히트 주가, 사업보고서, 실적 분석 시작합니다!


<이 글의 목차>

 

1. 주가

: 상장 이후 최근까지의 주가 흐름을 기재했습니다.

 

2. 사업보고서 분석

: 읽어보시면 기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업 모델, 사업부문 별 매출 비중 등을 비롯한 기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기재했습니다.

 

3. 실적 분석

: 기업의 최근 5년간의 매출액, 자산변동, 현금흐름 등의 실적에 대한 개인적 분석을 기재했습니다.


1. 빅히트 주가

 

상장 이후 빅히트의 주별, 월별, 연별 주가주가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빅히트 주별, 월별 주가
빅히트 연별 주가 및 주가 추이

빅히트의 현재(21.01.24.) 주가는 192,500원이며, 주가는 상장 이후 하락, 횡보하다 21년 급등했습니다.

 

빅히트는 20년 공모가(135,000원) 대비 최대 160%(351,000원)의 수익률을 보여줬던 기업입니다.

 

이후에 빅히트와 같은 수익률을 보여줄 수 있는 주식은 무엇이 있을까요?

 

그리고, 빅히트는 어떤 사업을 하길래 이러한 수익률을 보여줄 수 있었던 걸까요?

 

이어지는 사업보고서 분석을 읽어보시면, 힌트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2. 빅히트 사업보고서 분석

 

2005년 설립된 빅히트는 현재(2021.01.24.) 시가총액 6조 8500여 억 원의 글로벌 엔터테이먼트 콘텐츠 기업입니다.

 

빅히트는 레이블(Label)조직(아티스트의 발굴, 육성 및 음악 제작) 도메인(Domain)조직(아티스트로부터 창출된 지적재산(IP)의 사업화) 2개의 조직을 통해 4개의 사업 부문(앨범사업, 공연사업, MD 및 라이선싱 사업, 영상콘텐츠 및 온라인 콘서트)위합니다.

 

아래는 레이블 조직과 도메인 조직에 속한 회사명과 사업 개요입니다.

 

빅히트 소속 회사 및 사업개요(출처:DART)

 

당사가 내세우는 기존 엔터테이먼트 기업들과의 차이점은 단순 아티스트 육성, 음악 제작에 치중하지 않고 플랫폼 기반(‘위버스’)의 사업모델추구하였다는 점입니다.

 

이 점을 인정받아, 203월 미국 경제 전문매체 패스트 컴퍼티가 발표한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순위에서 SNAP,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에 이어 4위를 차지하였다고 합니다.

 

이어서 당사의 주요 아티스트 및 4개의 사업부문 설명입니다.

 

빅히트 주요 아티스트(출처:DART)

 

당사의 주요 아티스트방탄소년단,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세븐틴, 뉴이스트, 여자친구5개의 그룹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빅히트 앨범사업(출처:DART)

 

앨범 사업부문에서 당사는 ‘2020 상반기 가온차트 Top 400 앨범 판매량기준, 37.5%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158%, 1619%, 1723%, 1827%, 1934%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주요 아티스트인 방탄소년단의 디지털 싱글 다이너마이트유튜브 연대 최단 시간 1억뷰 달성을 기록했으며, 한국인 아티스트 최초 빌보드 Hot 100 1위를 차지하는 등 음원스트리밍 측면에서도 높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빅히트 공연사업(출처:DART)

 

공연 사업부문에서 방탄소년단은 국제 공연 매체 ‘POLLSTAR’ 집계 결과, 티켓판매량 및 공연수익 기준 글로벌 5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공연 혁신 수단으로, 라이브 뷰잉(실시간 공연을 영화관, 스포츠 경기장 등에서 관람하게 하는 것) 자체 플랫폼(위버스)을 통한 MD상품 구매 환경 개선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빅히트 MD 및 라이선싱 사업(출처:DART)

 

MD 및 라이선싱 사업은 물적분할하여 설립한 빅히트아이피를 통해 영위하고 있습니다.

 

빅히트 영상콘텐츠 및 온라인콘서트 사업(출처:DART)

 

영상콘텐츠 및 온라인 콘서트 당사 자체 플랫폼(위버스) 포함다양한 영상 플랫폼을 통해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빅히트의 매출 비중, 지역별 매출액, 수주 상황입니다.

 

빅히트 매출비중(출처:DART)
빅히트 매출 실적(출처:DART)

 

기타(11.71%)를 제외한 매출 비중, 앨범 매출 45%, MD 및 라이선싱 매출 30%, 콘텐츠 매출 11%, 공연 매출 0.51% 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연 매출의 경우 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크게 줄었기에, 추후 매출 증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체 매출에 대한 해외,국내,온라인 비중해외 39%, 국내 34%, 온라인 27%입니다.

 

위버스 매출 비중(출처:DART)

 

매출 비중과 관련하여 눈여겨 볼만한 또다른 사항은, 당사가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는 자체 플랫폼(위버스)의 매출입니다.

 

196월 론칭한 위버스의 전체 매출 대비 매출 비중19년 하반기 28.5%, 20년 상반기 38.3%빠르게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빅히트 지역별 매출액(출처:DART)

 

지역별 매출액, 국내 34%, 온라인 25%, 아시아 20%, 북미 18%, 기타 1% 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빅히트 수주 상황(출처:DART)

 

수주2이 있으며, 내용음원 콘텐츠를 중국 본토에 제공하는 계약소속 아티스트 세븐틴에 관한 업무 제휴 계약입니다.

 

마지막으로 투자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기업의 신규사업 및 전망입니다.

 

빅히트 신규사업(출처:DART)

 

빅히트는 신규 사업으로 3가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자체 육성 및 M&A를 통한 신규 아티스트 확보이며, 공시된 내용으로 볼 때, 21년에 3개의 그룹, 22년에 1개의 그룹신규 데뷔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MD 및 라이선싱 확대, 상시 MD 스토어 개설2021년 상반기 입주 예정된 신사옥 내 아티스트 뮤지엄 개관준비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온라인 콘서트 등 공연 방식의 다변화, 라이브 뷰잉 온라인 스트리밍 콘서트다양한 공연 방식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빅히트가 이와 같은 비전을 달성할 수 있을지 관심있는 투자자분들은 이어지는 실적 분석과 함께 기업의 앞으로의 행보를 지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빅히트와 같이 성장 비전을 품어 주가 상승을 이뤄낼 수 있는 기업은 무엇이 있을까요?

 

3. 빅히트 실적 분석

 

다음은 빅히트의 최근 5년간 주요 재무 정보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20년은 3분기까지의 실제 실적에 4분기 예측값을 반영한 정보입니다.)

 

 

손익계산서 :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16년부터 연속 증가하고 있으며, 당기순이익의 경우 18년 적자를 기록했으나 19년 흑자 전환 후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차대조표 : 자산, 부채, 자본 모두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자본 대비 부채 비율은 변동성이 있었으나, 20년 상장을 통해 자본을 확보하여, 부채 비율 약 53%재무 건전성을 확보했습니다.

 

현금흐름표 : 202건의 큰 투자(플렌디스엔터테이먼트 지분 인수 및 용산무역센터 임차 계약)투자활동/재무활동에 큰 지출이 있었으나 영업활동 현금흐름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잉여현금흐름(FCF)일정량 확보하고 있는 것은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이상으로 빅히트 주가, 사업보고서, 실적 분석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은 종목 추천 글이 아니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인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 기업명 검색은 이 포스팅 최상단의 돋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 이런글은 어떠세요?

[엔터테이먼트 관련주]

CJ ENM 주가, 배당금, 배당일 및 정보

jyp 배당금, 배당금 지급일, 주가 및 정보

아이엠이연이 주가, 배당금, 배당일 및 정보

 

반응형